시장에는 다양한 국내외 요인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지만, 이에 못지않게 리스크를 초래하는 변수들이 존재합니다. 뉴스와 증권사 리포트 분석 등을 통해 지금 국내외 시장은 어떤 상황인지 그리고 어떤 변수가 작용하고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최근 유세장 피격 후 되레 당선 가능성이 크게 거론되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금리와 함께 달러 가치 향방의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그가 내세운 건 약달러 정책이다.
달러 홀로 강세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에서 트럼프는 약달러를 통한 제조업 경쟁력 확보와 무역수지 적자 개선을 추구한다. 문제는 일부 정책은 약달러 정책과 상충한다는 점이다.
이에 시장은 중장기적으로는 약달러를 예상하면서도 당분간은 강달러 기조가 이어질 거라는 전망이다. 이 경우 미국 주식시장은 국내보다 여전히 투자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높다.
트럼프, 시장 변수로 전면 등장
하이투자증권 박상현 연구원은 하반기 달러화 지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정책뿐 아니라 트럼프 리스크라고 봤다. 그가 오는 11월 미 대선에서 당선될지는 미지수지만 당선 시 트럼프 2.0 리스크가 선반영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트럼프가 강달러 기조를 비판하며 약달러 정책을 내세우고는 있지만 사실상 트럼프 행정부가 달러 약세에 모순된 정책으로 물가 상승 즉 ‘트럼플레이션(트럼프+인플레이션)’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한다. 그의 자국우선주의 성향이 여전히 정책에도 드러나고 있어서다.
연준을 압박해 통화정책을 완화 기조로 전환한다는 얘기가 들리지만 트럼프 당선 이후에서야 실현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제2의 플라자합의도 실현 가능성이나 명분은 약하단 평이다. 플라자합의는 1985년 경제선진국들이 미국의 달러화 강세를 완화하려는 목적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정책, 강달러 부추길 우려
트럼프가 내세우는 ‘트럼프노믹스’ 정책은 ‘낮은 금리와 세금’이 핵심이다. 올해 예정 수순인 금리 인하를 부인하지는 않지만 트럼프는 대선 전인 11월 전으로는 반대하는 의중을 내비치고 있다. 고금리와 고물가로 어려워하는 유권자 표를 의식하는 셈이다.
또한 기업에 인센티브 제공이나 법인세 인하 공약을 내세우는 대신 관세를 높이려는 모습이 눈에 띈다. 트럼프는 중국산엔 무려 60-100% 관세를 부과하고 현재 3%대 관세율을 10%까지 올려 일명 ‘보편적 기본 관세’를 도입한다는 입장이다.
이렇게 되면 반도체 중심인 국내 대미국 무역흑자 종목들은 타격이 불가피하다. 더욱이 통상 압박은 트럼프가 바랄 것으로 예상되는 효과와 달리 강달러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관세는 한국을 비롯한 미국 교역상대국에는 수출경쟁력을 떨어뜨리는 통화 약세 요인이기 때문이다.
“달러화 강세 기조, 상당기간 지속 가능성”
한화투자증권 임혜윤 연구원은 통상압박의 결과는 달러화 강세일 거라고 봤다. 임 연구원은 “관세를 비롯한 보호무역 정책 영향이 외환시장 메커니즘 하에서 일정 부분 상쇄된다는 의미” 라며 “트럼프는 강달러(교역대상 국가 통화 약세)를 무역 불균형의 핵심이라고 주장하지만 관세 부과는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민간에 자금을 푸는 확장재정 기조도 강달러 요인이 될 수 있다. 임 연구원은 “미국의 적극적인 재정 활용이 다른 국가들보다 양호한 성장을 만들어낼 것이라는 전망이 강해지면 미국으로의 자본 유입이 늘기 때문”이라며 “달러화 강세 기조는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라고 봤다.
강달러가 지속될 경우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해외 주식투자 확대 흐름은 강화될 수 있다. 하이투자증권 박 연구원은 이에 대해 달러 수급에 우호적인 무역수지 흑자 폭 확대, 국내 주식을 순매수하는 외국인 기조, 오는 9월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가능성 등에도 해당 효과들을 약화시키는 요인이라고 봤다.
김은지 기자 leaves@tleav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