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20 증시 등락률에 일본 ‘상위권’…코스피 ‘꼴찌’
- 시총 10위권 대형주 약세…8위 네이버만 주가 선방
- 한투연 “코리아디스카운트 당연시…증시 재평가돼야”

[그래픽=김현지 기자] 
[그래픽=김현지 기자] 

국내 코스피 지수가 연초부터 부진한 흐름으로 이웃나라 일본과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은 주요 20개국 중 증시 등락률이 꼴찌인 반면 일본은 상위권으로 강세다.

통상 연초에는 증시가 탄력을 받기 마련이지만 코스피가 힘을 못 쓰는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난해 말 강세 이후 이어지는 조정세 및 대형주 약세 등이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반면 이를 여전한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으로 바라보는 주식 투자자들은 지수 곡선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려면 이와 같은 현상이 당연시되는 기조로부터 먼저 벗어나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대 낙폭 기록한 코스피


니케이225 지수 1년 추이. [사진=네이버페이증권 캡처]  
니케이225 지수 1년 추이. [사진=네이버페이증권 캡처]  

연초 코스피 지수가 16년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한 가운데 G20 주요 증시 지표 중 등락률에서도 꼴찌를 기록해 이목을 끌었다.

한국거래소 등에 따르면 올해 첫 거래일부터 지난 12일까지 종가 기준으로 G20 대표 증시 지수에 대한 등락률을 비교한 결과 코스피 지수는 올 들어 –4.90%로 최대 낙폭 기록이었다.

반면 일본 ‘닛케이225’ 지수는 6.31%의 상승률을 기록해 G20 국가 중 3위를 기록했다. 1,2위가 아르헨티나(MERVAL)와 튀르키예(BIST)인 점을 감안하면 선진국 중에서도 상위권이다.

상위권에 대체로 신흥국 지수가 포진됐다면 주요 서구권 지수는 약세였다. 미국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9위로 –0.26% 떨어졌으며 독일과 유럽연합, 프랑스, 영국이 뒤를 이었다.


조정세 및 대형주 약세 크게 작용


코스피 지수가 이같이 등락률을 크게 보인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지난해 말 국내 증시가 강세였던 만큼 올해 조정세가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지난해 11-12월 코스피 지수 상승률은 16.56%로 미국(14.03%), 독일(13.83%), 인도(12.68%), 유럽연합(12.25%), 일본(8.44%) 등 주요국 지수 상승률을 상회했다.

주요 대형주들의 약세도 한몫했다.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6.88%)는 물론 SK하이닉스(-5.23%), LG에너지솔루션(-2.81%) 등 10위권이 하향세로 8위인 네이버만 유일하게 주가 상승세였다.

이밖에도 최근 발표한 지난해 12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예상치(3.2%) 보다 높은 3.4%를 기록하면서 줄어든 금리인하 기대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투연 “주식시장 재평가 운동 필요”


전문가 분석이 틀린 말은 아니지만 주식 투자자 입장에선 현재와 같은 코스피 지수 상황이 무엇보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에서 기인한다는 해석이다.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정의정 대표는 ‘자본주의의 꽃’인 주식을 투기나 도박으로 보는 시각이 아직도 만연하며 개인 투자자들을 보호하지 않고 방치한 결과 주식으로 탕진하는 패턴이 수십년째 계속되고 있다고 봤다.

또한 정 대표는 열악한 기업지배구조, 세계 최고 세율인 상속세로 인한 기업 지배주주들의 주가 하방 압력 문제, 미국의 3분의 1 수준인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 부동산에 편중된 자산구조, 공매도 폐해 등을 짚었다.

그렇기에 근본적으로 국내 증시가 우상향 곡선이 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금융당국을 중심으로 기구를 설립해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하며 주식시장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들을 하나씩 제거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와 관련 정 대표는 더리브스와 통화에서 “우리나라는 유독 악재 반영이 많다”며 “우리나라의 기업 가치를 반영했을 때는 코스피가 적어도 3000-4000 정도가 정상인데 악재만 반영되고 오를 만하면 내리니 손해가 많고 삶의 질이 저하되는 현상까지 초래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선진국의 3분의 1 수준 혹은 신흥국 대비로도 2분의 1 정도”라며 “코리아디스카운트는 당연하다는 기조가 깔려있는 모습도 보이는데 주식시장이 살아나면 순기능이 많은 만큼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재평가 운동’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포퓰리즘이라는 일부 비판이 있지만 개인 투자자를 대표하는 한투연은 정부가 추진하려는 금융투자소득세 폐지나 주주의 비례적 이익을 보장하는 상법 개정, 불법 무차입 공매도 해소 전까지 공매도를 금지하는 방침 등에 대해서는 지지하는 입장이다.

반면 공매도 개선안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 차를 보이고 있다. 한투연은 공매도 상환 기간을 90일로 강제하고 상환 후 1개월 간 재공매도를 금지하는 정책과 담보비율을 130% 이상으로 통일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김은지 기자 leaves@tleaves.co.kr

저작권자 © 더리브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