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매출 호조’ 셀트리온…1Q 관세 대응 변수
- 1분기 영업이익 시장 전망치 대비 36% 하회…높은 원가율 유지 - 미국으로 원료의약품 9개월 분량 지난 1월 보내…관세 선제 대응 - 셀트리온 관계자 “관세가 부과될 시 단기·중기·장기 대응책 마련”
셀트리온이 매출을 꾸준히 늘려온 가운데 1분기 실적은 아쉬울 전망이다. 미국 관세가 적용될 경우를 선제적으로 대응한 일회성 요인 때문이다.
미국에 바이오의약품을 수출하는 셀트리온은 관세 타격을 줄이기 위해 DS(원료의약품)를 현지에 보내놨다. 고마진 신제품들은 미국 시장에서 호응을 얻고 있다.
2분기부터 원가율이 안정화되면서 실적이 개선될 여지는 있다. 다만 관세에 대응하는 일회성 요인이 지속될 수 있는 건 변수다.
1Q, 높은 원가율 유지 전망
셀트리온의 1분기 영업이익은 시장의 기대치보다 낮을 전망이다. SK증권은 셀트리온이 1분기 영업이익으로 1589억원을 남길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는 전망치 2472억원을 36% 하회한 수치다.
이익률을 나타내는 원가율은 높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원가율이란 매출액에 대한 원가 비율로 낮을수록 이익률이 높다는 뜻이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셀트리온의 지난해 4분기 원가율은 48.9%다. 미국 식품의약청(FDA) 검사에 대응하기 위한 비용 등 때문에 높게 측정됐다.
셀트리온이 올해 1분기 관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면서 외부 위탁생산(CMO)도 늘어난 영향으로 높은 원가율이 유지될 것으로 시장은 내다봤다.
관세가 부과되기 시작하면 미국에 의약품을 수출하는 셀트리온은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셀트리온은 미국 관세가 부과되기 전 대량의 DS를 미국에 먼저 보냈다.
세 부담 낮은 DS 대량 보내
셀트리온은 올해 판매할 예정인 제품의 DS 9개월 분량을 미국으로 지난 1월 말 보냈다. 약 1년간 나눠서 보내왔던 DS를 묶어서 먼저 보낸 셈이다.
이유는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다. 완제의약품(DP)보다 세 부담이 적은 DS를 미국으로 보낸 후 현지에서 DP로 생산하는 방식을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이는 원리다. 외부 CMO 생산이 1분기에 집중된 배경이기도 하다.
셀트리온은 미국으로 보내놓은 대규모 DS 제품을 DP로 제조할 수 있도록 현지 제조소와 협의 중이다. 원래도 미국 현지에서 일부 DP를 제작했지만 올해의 경우 이전 대비 더 많은 DP 제작이 절실해진 상황에서 충분한 제조 역량을 갖춘 현지 업체들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셀트리온은 DS 생산이 가능한 현지 생산기지를 인수하거나 설립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12월 100% 자회사인 의약품위탁개발생산(CDMO) 전문기업을 출범한 바 있다.
“하반기 갈수록 묶음 판매 효과 기대”
셀트리온이 견조한 매출을 기록해 온 데다 2분기부터 원가율이 하락할 가능성이 나오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점진적인 실적 개선은 가능하다.
셀트리온의 매출액은 지난해 3조5573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은 2077억원으로 지난 1분기 대비 약 13배 증가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1964억원으로 합병에 따른 일시적인 상각비 때문에 직전 분기 대비 5% 감소했다.
지난해 전체 매출액 중에서 10%를 차지한 유플라이마는 최근 미국에서 오리지널 의약품인 휴미라와의 상호교환성 변경허가를 획득했다. 환자는 의사 처방 없이도 약국에서 휴미라 대신 유플라이마를 살 수 있게 된다.
매출도 지난해 꾸준히 늘었다. 유플라이마의 지난해 매출액은 670억원(1분기), 800억원(2분기), 944억원(3분기), 1082억원(4분기)으로 분기마다 증가했다.
키움증권 허혜민 연구원은 “외부 CMO 생산은 올해 1분기에 대부분 집중될 것으로 보이고 2분기부터는 원가율이 안정화될 것”이라며 “하반기로 갈수록 제품 번들링(묶음 판매) 효과 및 원가율 개선을 기대한다”라고 내다봤다.
다만 의약품도 상호 관세 부과 대상에 추후 포함될 수 있다. 셀트리온이 관세에 대응하면서 상승한 원가율이 1분기에서 그치지 않고 더 길게 유지될 수 있다는 얘기다.
DB증권 이명선 연구원은 “관세 대응에 따른 실적 영향이 예상보다 지속된다면 매출보다 매출원가율 개선 폭이 예상보다 크지 않아 영업이익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라고 분석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더리브스 질의에 “만일 관세가 부과될 시 단기·중기·장기로 대응책을 마련했다”며 “장기적으론 생산 시설을 늘리는 방향도 검토하고 있는데 (생산 시설 부지는) 국내가 될 수도 있고 해외가 될 수도 있다”고 답했다.
박달님 기자 pmoon55@tleaves.co.kr